(AI시대)미래 사회 유망 일자리17--AI 교육 전문가 & 에듀테크 기획자
1. 직업 개요
AI 교육 전문가는 인공지능 기술을 교육 현장에 접목시키는 전문가로, 학습자들에게 AI 관련 지식과 기술을 가르치거나 AI를 활용한 맞춤형 교육 시스템을 개발하는 사람이다. 에듀테크 기획자는 교육(Education)과 기술(Technology)을 결합한 혁신적인 교육 서비스나 플랫폼을 기획하고 개발하는 직업이다. 이 두 직업은 4차 산업혁명 시대에 교육 분야의 혁신을 이끄는 핵심 직군으로 부상하고 있다.
*AI 교육 전문가: 인공지능 기술을 교육 현장에 적용하거나, AI를 활용해 학습자 맞춤형 교육 콘텐츠 및 커리큘럼을 설계하고 운영하는 전문가.
*에듀테크 기획자: 교육(Education)과 기술(Technology)을 결합한 콘텐츠, 플랫폼, 서비스를 기획하고 구현하는 직업. 디지털 교과서, 온라인 학습 플랫폼, AI 튜터 시스템 등 기획.
2. 직업 특성
*AI 교육 전문가
-업무 내용: AI 기술 교육과정 개발, AI 교육 프로그램 운영, AI 활용 학습 시스템 설계
-근무 환경: 교육기관, 에듀테크 기업, 연구소, 기업 내 교육부서
-발전 가능성: AI 기술의 발전과 함께 수요가 지속적으로 증가할 전망
-근무 형태: 프로젝트 기반, 정규직, 프리랜서 등 다양한 형태
*에듀테크 기획자
-업무 내용: 교육용 소프트웨어/플랫폼 기획, 사용자 경험 설계, 교육 콘텐츠 기획
-근무 환경: 에듀테크 스타트업, 교육 기업, IT 기업의 교육 부문
-발전 가능성: 글로벌 에듀테크 시장이 빠르게 성장하며 전문가 수요 증가
-근무 형태: 프로젝트 단위 협업, 팀 기반 업무 수행
3. 흥미, 적성
*흥미 요소
-교육과 기술에 대한 복합적 관심
-새로운 기술 트렌드 탐구 열정
-사람들의 학습 방식에 대한 호기심
-문제 해결 과정에서 오는 성취감
-창의적인 교육 방법 개발에 대한 즐거움
-교육적 가치를 실현하고자 하는 관심
-기술을 활용한 문제 해결에 대한 흥미
*적성
-논리적/분석적 사고능력
-기술적 변화에 대한 적응력
-타인의 학습 필요를 이해하는 공감 능력
-복잡한 개념을 쉽게 설명하는 능력
-다양한 분야를 융합하는 통합적 사고
-논리적 사고력과 창의적 문제 해결 능력.
-사람의 학습 방식에 대한 이해.
-커뮤니케이션과 협업 능력.
-새로운 기술에 대한 빠른 습득력.
4. 역량, 인재상
*핵심 역량
-기술적 역량: AI, 빅데이터, 교육용 소프트웨어 활용 능력
-교육학적 역량: 학습 설계, 교수법, 교육과정 개발 능력
-기획력: 사용자 중심의 서비스 기획 및 설계 능력
-소통 능력: 다양한 이해관계자와 협업하는 능력
-분석력: 교육 효과 분석 및 데이터 기반 의사결정 능력
-프로그래밍/데이터 분석 기초
-디자인적 사고(Design Thinking)
-프로젝트 관리 및 기획 능력
*인재상
-교육과 기술의 접점을 창의적으로 탐구하는 혁신가
-지속적으로 학습하고 자기계발하는 평생학습자
-사용자(학습자)의 니즈를 깊이 이해하는 공감형 인재
-다양한 분야의 지식을 융합할 수 있는 통섭형 인재
-기술적 변화를 교육에 접목시킬 수 있는 적응형 인재
-창의성과 기술감각을 겸비한 융합형 인재
-학습자 중심 교육을 고민하는 실천가
-협업과 의사소통에 능한 기획형 리더
5. 관련 고교 권장과목
* 수학: 확률과 통계, 미적분, 기하
*과학: 정보과학, 물리학, 과학탐구실험
*기술·가정: 정보, 프로그래밍
*국어/영어: 의사소통 역량 개발을 위한 과목
*인공지능 기초/수학
*교육학, 윤리, 사회문화
*프로그래밍
*데이터 과학
*컴퓨터 시스템
*프로그래밍, 데이터 활용
6. 진로 탐색 활동
*AI 교육 관련 체험 프로그램: AI 교육센터, 소프트웨어 교육 캠프 참여
*에듀테크 기업 탐방: 기업 견학, 직무 체험
*멘토링: 현직 AI 교육 전문가/에듀테크 기획자와의 멘토링
*관련 MOOC 수강: Coursera, edX 등의 플랫폼에서 AI, 교육기술 관련 강좌
*교육봉사: 코딩, AI 관련 지식을 활용한 교육봉사 활동
*AI 기반 교육 플랫폼 분석 (예: 뤼이드, 클래스101 등)
7. 고교 추천 활동
*교내 활동
-AI/SW 동아리: 프로그래밍, AI 관련 학습 동아리 활동
-교육 봉사 동아리: 또래 교육, 학습 지원 활동
-학술 발표/토론회: AI와 교육의 미래에 관한 주제 발표
-교내 학습 앱 개발 프로젝트: 실제 학교 문제 해결을 위한 앱 개발
-AI 교육 캠프, 디지털 리터러시 캠프 참가
-교내 에듀테크 동아리(교육 콘텐츠 개발, 학습 앱 기획 등)
-AI 윤리 토론 활동 또는 에듀테크 서비스 사용자 경험 설계 프로젝트
-창의적 체험활동: 교육 혁신 아이디어 공모전 참여
*교외 활동
-AI 교육 해커톤: 에듀테크 관련 해커톤, 아이디어 경진대회
-AI 관련 캠프/워크숍: 방학 중 AI 교육 캠프 참여
-온라인 코딩 교육: 코딩 사이트를 통한 프로그래밍 학습
-에듀테크 스타트업 인턴십: 방학 기간 활용한 짧은 인턴십
8. 권장 도서
*인공지능과 교육의 미래 - 장병규, 김진형
*에듀테크, 테크놀로지 기반 미래교육 - 정제영
*AI 시대의 교육 - 김형주
*교실이 없는 시대가 온다 - 살만 칸
*학습의 본질 - 데이비드 퍼킨스
*디지털 네이티브 - 마크 프렌스키
*이너게임 오브 워크 - 티모시 갤웨이
*사피엔스 디지털 - 정지훈
*린 스타트업 - 에릭 리스
*이노베이터의 딜레마 - 클레이튼 크리스텐슨
*교육을 바꾸는 디자인 사고 - 마이클 쉬어
*에듀테크 시대의 교육혁신 – 황인태
*AI 시대 교육의 미래 – 조벽
*AI 교육의 모든 것 – 와타나베 케이
*생각하는 기계의 시대 – 마틴 포드
9. 관련 자격
*국내 자격
-정보처리기사/산업기사
-빅데이터분석기사
-데이터분석 전문가(ADsP)
-인공지능 자격(AIF)
-디지털정보활용능력(DIAT)
-이러닝지도사/기획자
-AI리터러시 인증, 코딩자격(정보처리기능사)
- UX 기획, 콘텐츠 기획, 디지털콘텐츠개발사
*국제 자격
-Microsoft Certified: Azure AI Engineer Associate
-Google Professional Machine Learning Engineer
-IBM AI Engineering Professional Certificate
-Certified Educational Technology Leader(CETL)
-교육자를 위한 ISTE 인증
10. 관련 직업
*AI 교육과정 개발자
*교육용 AI 연구원
*교육 데이터 분석가
*에듀테크 UX 디자이너
*디지털 학습 콘텐츠 기획자
*교육 플랫폼 매니저
*이러닝 시스템 엔지니어
*교육 서비스 기획자
*AI 교육 컨설턴트
*교육 스타트업 창업자
*교육공학자
*스마트러닝 연구원
*UX 디자이너(교육 플랫폼 특화)
*에듀테크 스타트업 창업가
11. 진출 분야
*기업
-에듀테크 스타트업 (클래스팅, 노리, 웅진씽크빅, 뤼이드, 뽀로로TV, 엘리스, 클래스101 등)
-대형 IT 기업의 교육 부문 (네이버, 카카오 등)
-교육 콘텐츠 기업 (교보문고, 웅진씽크빅 등)
-AI 개발 기업 (솔트룩스, 뤼이드 등)
-교과서 및 디지털 콘텐츠 개발 기업
*교육기관
-대학교 에듀테크 센터
-교육 연구 기관 (한국교육학술정보원, 한국교육개발원 등)
-공공 교육기관 (교육청, 평생교육원, 한국교육학술정보원, 교육부 산하 기관 등)
-사설 교육기관 (학원, 교육센터 등)
-온라인 교육 플랫폼 (edX, Udemy, Khan Academy 등)
*공공기관
-한국교육학술정보원(KERIS)
-정부 교육 정책 연구소
-지자체 교육 혁신센터
-디지털 교육 분야 공기업
12. 연관 학과
*교육 관련
-교육공학과
-교육학과
-평생교육학과
-이러닝학과
*기술/공학 관련
-컴퓨터공학과/소프트웨어학과
-인공지능학과
-데이터사이언스학과
-HCI(인간-컴퓨터 상호작용)학과
*융합 관련
-에듀테크융합학과
-교육정보미디어공학과
-디지털미디어학과
-융합소프트웨어학과
-AI융합학과, AI교육학과
-디자인학과(UX/UI 중심)
-디지털 콘텐츠학과
13. 개설 대학
*교육공학/에듀테크 중심
-고려대학교 교육공학과, 데이터사이언스융합전공
-이화여자대학교 교육공학과
-한양대학교 교육공학과
-건국대학교 에듀테크공학과
*AI/컴퓨터공학 중심
-서울대학교 컴퓨터공학부
-KAIST AI대학원
-성균관대학교 소프트웨어학과
-한국외국어대학교 인공지능학과
*융합 교육 중심
-동국대학교 미래융합교육원
-연세대학교 미래교육원
-중앙대학교 미래교육플랫폼학과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데이터사이언스학과
-성균관대 교육공학과, AI융합전공
-한양대 미래교육혁신학과, 소프트웨어융합학부
-이화여대 인공지능학부
-경희대 교육학과 + 디지털 콘텐츠 융합전공
-카이스트 교육공학 석박사 과정 (KAIST GSI)
-서울교대/한국교원대 AI교육 전공 개설
14. 학생부 창체 작성 방안
*진로활동
"AI 기반 학습 보조도구 개발 프로젝트"
-학생들의 학습을 돕는 AI 챗봇을 기획 및 프로토타입 개발
-"인공지능 기술을 교육에 접목하는 과정에서 학습자의 니즈를 세밀하게 분석하고, 이를 기술적으로 구현하는 경험을 통해 에듀테크 분야의 실무 역량을 키움"
"AI 기술을 활용한 교육 콘텐츠에 관심을 가지고 다양한 AI 기반 학습 앱 분석, 에듀테크 관련 진로 강연에 참여함. 미래 교육의 패러다임 변화에 대해 탐색하며 에듀테크 기획자 진로를 구체화함.“
*동아리활동
"에듀테크 탐구 동아리"
-최신 에듀테크 트렌드 조사 및 적용 방안 연구
-"교육과 기술의 융합 사례를 조사하고 발표하는 과정에서 협업 능력과 기획력을 향상시켰으며, 특히 '개인 맞춤형 학습 시스템' 주제 발표를 통해 데이터 기반 교육의 가능성을 심층적으로 탐구함"
*봉사활동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 봉사"
-지역아동센터에서 코딩 및 AI 기초 교육 진행
-"소외계층 아동들에게 코딩과 AI 기초를 가르치는 과정에서 복잡한 개념을 쉽게 전달하는 교수법을 개발하고, 학습자 중심의 교육 설계 역량을 함양함"
*자율활동
"학교 학습관리시스템(LMS) 개선 프로젝트"
-학교 온라인 학습 시스템의 문제점 분석 및 개선안 제안
-"실제 사용자 인터뷰와 데이터 분석을 통해 현행 시스템의 한계점을 파악하고, 사용자 경험 중심의 개선안을 도출하여 학교 측에 제안함으로써 교육 시스템 기획 역량을 입증함“
"교내 미니 앱 기획 프로젝트에 참여하여, 사용자의 학습 습관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맞춤 학습 콘텐츠를 제안하고 기획안을 발표함."
15. 학생부 세특 작성 방안
*정보 교과--정보처리능력, 알고리즘적 사고
"인공지능 알고리즘의 기본 원리를 이해하고 이를 활용한 교육용 프로그램을 설계하는 과정에서 뛰어난 논리적 사고력과 문제해결능력을 보여줌. 특히 '머신러닝을 활용한 학습 패턴 분석' 프로젝트에서 데이터 기반의 의사결정 과정을 체계적으로 수행함“
"AI와 빅데이터 기술을 활용한 교육 서비스 기획에 관심을 가지며, 텍스트 마이닝과 추천 알고리즘의 교육적 활용 방안에 대해 탐구함. 협업 중 기획 발표 주도."
*수학 교과--수리적 분석능력, 통계적 사고
"빅데이터와 통계 분석 단원에서 교육 데이터를 활용한 학습 성과 예측 모델을 설계하였으며, 수학적 개념을 실생활 문제에 창의적으로 적용하는 능력이 탁월함. 확률과 통계 개념을 교육 콘텐츠 추천 알고리즘에 응용하는 과정에서 깊이 있는 통찰력을 보여줌"
*영어 교과--글로벌 소통능력, 전문자료 해석력
"최신 에듀테크 트렌드에 관한 영문 자료를 분석하고 이를 국내 교육 환경에 적용하는 방안에 대한 에세이를 작성함. 글로벌 에듀테크 기업의 케이스 스터디를 수행하며 영어로 된 전문 자료를 정확하게 이해하고 비판적으로 분석하는 능력이 우수함"
*사회 교과 (교육학 관련)--교육적 통찰력, 사회현상 분석력
"교육격차 해소를 위한 에듀테크의 역할을 주제로 한 탐구 과제에서 다양한 사회경제적 요인을 분석하고, 기술을 통한 교육 접근성 향상 방안을 체계적으로 제시함. 교육 정책과 기술 혁신의 연관성을 심도 있게 이해하고 있으며, 미래 교육의 방향성에 대한 날카로운 통찰력을 보여줌"
*융합과학
"기술 변화에 따른 교육 환경 변화를 탐색하고, 과학적 원리를 적용한 에듀테크 활용 사례(AR/VR, 뇌파 기반 학습 등)에 대해 발표하며 주도적인 탐구 자세를 보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