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기반 입시컨설팅에 대하여 2
8. 학생부 기록의 예시(창체와 세특)
*누구나 다 아는 평이함, 추상적인 내용, 막연한 장점만을 나열
---더 깊이 탐구하려 노력하는 학생임. 수업 태도가 좋음. 수학 문제를 잘 풀이함, 적극적으로 참여함' 식의 막연한 표현은 지양.
*자신만의 개성을 느낄 수 있는 내용, 깊이와 높은 수준의 학업역량,
*지원 학과와의 연계성을 적극적으로 드러낸 표현(진로역량).
*교과 활동을 통해 드러난 인성적 강점을 포착하여 기록(공동체역량),
*학생의 학업적 성장과 우수성을 구체적이고 설득력 있게 표현, 노력한 과정.
*근거를 가지고 자신의 의견을 당당히 개진하는 학생,
*동료들의 아이디어를 발전시키며 협력을 이끄는 학생,
*어려움에 봉착해도 끝까지 해법을 모색하는 학생,
*관심사에 맞는 활동에 적극 참여하며 열정을 불태우는 학생들,
*그 속에서 목표를 구체화해 가는 학생,
등을 AI에게 구체적으로 요청하는 방법을 찾아서 사용.
**구체성과 노력 과정의 예
‘수학 수업 시간에 부등식의 영역에 대해 배우고 심화학습으로 잠깐 언급된 선형계획에 대해 흥미를 가짐. 고등학교 범위의 간단한 예제에서 그치는 것이 아니라 확장된 선형계획 풀이에 대해 스스로 조사하고 공부하여 보고서의 형태로 정리함. 특히 엑셀을 활용한 방법을 조사하여 적용해봄으로써, 문제의 계산이 더 복잡해지더라도 충분히 해를 구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찾아냄’
**서로 다른 교과에 걸친 융합적 사고력을 보여주는 예
‘수학 시간에 배운 지수함수 개념을 경제 원리에 적용해 보고자 하는 의지를 보임. 이를 위해 경제학 서적을 탐독하고 수학 교사와 경제 교사 양쪽에게 조언을 구하는 등 열정적 자세로 학습에 임함’
**자기주도적 탐구의 예
‘수업시간에 배운 DNA에 흥미를 가지고 텔로미어의 역할에 대한 심화학습 보고서를 작성함. 노화에 대한 최신 이론과 연결지어 건강한 삶에 대한 본인의 의견을 제시함. 생물학적 지식을 실생활과 연결 짓고, 과학적 소양을 쌓기 위해 적극적으로 노력하는 모습이 인상적임.’
**새로운 해석을 시도한 예
‘국어와 사회 교과를 넘나드는 통합적 사고력이 돋보임. 작품 이해에 그치지 않고 역사적 상상력을 발휘하여 시대 상황을 재구성해 보는 태도가 인상 깊음.’
**AI로부터 진로역량을 찾아 첨삭한 국어 세부능력 특기사항
‘무죄의 추정’을포함해 6편 정도의 칼럼을 읽고 근거를 찾는 연습을 하였고 ‘GMO라면’관련 자료를 찾아 칼럼을 작성하였음.
>>>
‘무죄의 추정’을포함해 6편 정도의 칼럼을 읽고 근거를 찾는 연습을 하였고 ‘GMO라면’관련 자료를 찾아 ‘GMO 밥상과 소비자의 알 권리’를 주제로 한 (식품공학 관련 전공 지원) 칼럼을 작성하였음.
‘서울 1964년 겨울’을읽고 친구들과 토의하였음.
>>>
‘서울 1964년 겨울’을읽고 친구들과 1960년의 사회적 배경과 주제의 연관성, 인간 소외 현상의 원인과 극복 방법을(사회학과 진학의 경우) 토의하였음.
**수업 내용에 흥미를 느끼고 호기심을 드러냄
**주도적으로 선택한 탐구 활동의 구체적 사례
**탐구를 통해 학생이 어떤 성장을 이뤄냈는지
**앞으로의 기대 및 교사의 평가
(기: 흥미와 호기심) 복소수 단원에서 수의 확장 과정에 깊은 관심을 보이며, 수학이 예술과 만나는 지점을 탐구하고자 함. (승: 구체적 탐구 활동) '음악 속 수학의 세계'라는 주제로 피타고라스의 음률체계를 조사하여 발표를 진행함. 현의 길이비와 진동수의 관계를 수식으로 정리하고, 같은 음을 내는 서로 다른 악기의 물리적 특성을 수학적으로 분석함. (전: 성장의 내용) 나아가 현대 음악의 12음계가 탄생하게 된 수학적 배경을 탐구하면서, 순정률과 평균율의 차이를 분수식의 비교를 통해 설명하며 논리적 사고의 확장을 보여줌. 이어서 '황금비와 음악'이라는 주제로 바흐의 브란덴부르크 협주곡에 등장하는 황금분할을 찾아보고, 음의 높낮이 비율과 황금비의 관계를 분석하여 발표함으로써 수학의 심미적 가치를 깊이 있게 탐구함. (결: 향후 기대와 평가) 수학이 단순한 계산의 도구가 아닌 예술적 아름다움을 표현하는 언어가 될 수 있음을 깨닫고, 학문 간의 경계를 넘나드는 융합적 사고력을 보여줌.